선정 이유
- 당근마켓은 어디서 돈을 버는 것인가?
- 당근마켓은 어떻게 동네 기반의 하이퍼로컬 서비스에서 앱 다운로드 순위 1위를 차지하는 엄청난 서비스가 되었을까?
- 당근마켓은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서비스를 확장해나갈 것인가?
서비스 소개
-
✨컨셉
- 당근마켓 : 당신 근처의 마켓
- 키워드 : 지역기반/중고거래/커뮤니티/가까움/따뜻함/믿음
-
✨주요 이용고객
-
✨지역 밀착형 중고 거래 플랫폼
- 단순 물품 거래뿐 아니라 동호회, 지역 정보 공유 등 점차 동네 사랑방,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하이퍼로컬 서비스로 발돋움
→ 지역 밀착.동네 생활권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확장
-
✨핵심기능
- (주요기능) 중고 직거래 마켓
- 지역 기반의 이점 활용
- 지역 인증 : 인증된 유저만 중고 거래 서비스 이용 가능 → 유저 인증 → 신뢰도 향상
- 가까운 거래 : 내 동네 기준, 특정 반경 내에서만 거래가 가능 → 택배 거래 등의 불편감 감소 → 사기 거래 발생 확률 감소 + 판매/구매율 증가 기대
※
- 리워드 제공
- 게시물등록/판매/구매/방문/초대 등의 고객액션을 count 하여 활동뱃지 제공
- 칭찬/후기/비매너평가/운영자 징계를 종합한 매너온도 수치 제공
- 재거래희망률/응답률/인증횟수 지표 제공
→ 유저의 개인정보 없이도 판매/구매 행태를 확인할 수 있을만한 정보 제공
→ 유저 입장에서 판매자/구매자에 대한 신뢰도 향상
- 1:1 채팅으로 중고 거래
- 판매자와 구매자간 1:1 채팅으로 자유롭게 거래일, 시간 약속
- 거래 및 결제는 대면으로 진행
→ 개인정보 공유없이, 거래 가능
- 동네생활 공유
- 내가 생각한 목적
- 동네 커뮤니티 구축 및 활성화
- 특정한 니즈(중고 거래)가 있지 않아도, 유저 재방문율과 체류시간을 높일 수 있는 별도 서비스로 존재(결국 목적은 자주 접속→ 친밀감 형성 (리텐션 마케팅) → 더 많은 거래 → 더 다양한 서비스 이용→ 고객 이탈률 하락 및 락인)
- 세부 기능
- 카테고리별 동네소식 공유
- 동네모임을 통한 온오프라인 채널 결성
- 동네가게 검색
- 지역 내 소상공인 업체 연결 (지역 상권과 주민 연결)
- 지역 광고 수익 창출
- 일반 유저, 소상공인 업체 데이터 수집
-
✨눈여겨 볼만한 기능
-
선물하기 (20년 하반기)
- 유저 간 선물하기 기능
- 타 안심결제 시스템 사용

https://www.yna.co.kr/view/AKR20201110033500017
-
구인/구직 기능
- 당근 마켓이 이런 기능을?
- 구인/구직 매칭
-
GS 편의점 - 마감임박 상품 구매 기능
- GS 편의점과 제휴하여 유저 동네 근처의 GS 편의점을 검색, 마감임박 상품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페이지 및 결제 Flow 제공 (GS에서 다 만든 것으로 보임. 웹뷰 형식)
-
PC - 당근채팅 (Beta)
- 앱 내 1:1 채팅 기능을 PC로 그대로 옮겨와 실행할 수 있는 기능
-
당근페이 (2021년 예정)
- 현재 타 결제시스템 사용으로 인한 결제수수료를 절감하고, 유의미한 고객 결제데이터를 수집할 것으로 보임
수익구조
분석 후 느낀점
첫번째. 마케팅 관점 - [당근마켓] 사용자들에게 자연스럽게 스며들다.
'당근이세요?'
요즘 길을 걷다 보면, 당근마켓의 옥외광고지가 버스에,정류장에, 지하철에, 여기 저기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