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년차 덕질 고수로써 "덕질을 위한 덕질을 위한 덕질에 의한" 플랫폼이 있다고해서 한번 파헤쳐보기로 했습니다. 제 덕질의 역사를 기억해보자면 초등학교 6학년때부터 시작했던것 같습니다. 그때는 덕질이라고 해보았자 곰플레이어로 뮤직비디오를 보는일 뿐이었는데, 요즘은 시간이 거듭하면 거듭할 수록 빠른 덕질 흐름과 유행에 놀라곤 합니다.
브이앱과 위버스에 겨우 적응을 하였는데, 덕질만을 위한 플랫폼이 존재하여 정말 놀랐습니다. HOLY...
제가 처음 블립을 접했을때는 블립의 타겟층은 저와 같은 퍼소나를 가지지 않았을까 생각했습니다.
" 이제 막 팬이 된, 적극적이진 않지만 스타의 관한 모든것이 궁금한 팬 "
위의 예시처럼 블립은 퍼소나가 저와 같은 라이트팬에게 적합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최근에 휴덕을 하고 일과 삶에 치여 잊고 있다 새로운 덕질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요즘의 덕질 문화를 간접적으로나마 체험 한것 같습니다.
제가 경험한 바에 따르면 요즘 덕질을 하기 위해서는 트위터를 깔고 자체컨텐츠를 훑고 브이앱이나 혹은 위버스에 가입하는 플로우가 덕질의 시작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나, 블립은 이 모든것을 한번에 습득할수 있는 현생 바쁜 나를 대신하여 덕질을 해주는 앱이라고 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제가 느꼈을때는 예전에는 가수의 춤을 보기 위해 같은 무대를 여러번 반복해 보던 것을 이제는 음악방송 채널마다, 멤버별 개인 직캠으로 따로 보여주는것 같은 신선한 인사이트를 받았습니다.
블립
음악 전문 스타트업 기업 스페이스오디티 자사 앱서비스로서 '내 손안의 덕메이트, 블립'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20년 6월에 출시되었다고 한다.
'블립'은 전세계 팬들이 모바일 시대에 덕질을 하면서 겪는 공통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태어난 앱 서비스이며 케이팝 아티스트에 대한 정보의 접근이 수월해진 시대지만 오히려 무엇부터 해야 할지 어렵고, 일일이 찾아 봐야하는 수고를 겪는 것에 착안해 덕질을 더 쉽고 편리하도록 팬 관점의 UX로 설계해 서비스라고 한다.(제가 처음 생각했던 퍼소나와 일치하는 것 같습니다.)